언패킹(Unpacking)
0. 들어가며 packing은 여러개의 객체를 하나로 묶는 것. unpacking은 여러개의 객체를 묶어 놓은 것을 풀어내는 것임. # 패킹 : test에 한꺼번에 1,2,3을 집어넣는다 test = 1,2,3 # a,b,c 변수에 test안에 묶여있던 값들을 풀어서 집어넣는다. a,b,c = test #결과 print(a, b, c) >>> 1,2,3 용어 설명 매개변수(Parameter) :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변수 인자(Argument): 실제로 함수가 호출될 때 입력되는 변수값 위치인자 : 인자와 매개변수에 위치와 일치시키는 인자, 항상 키워드 인자보다 먼저 작성해야함 키워드인자 : 매개변수에 이름으로 일치시키는 인자 1. 언패킹 1) 함수에서 언패킹할 때는 매개변수(a,b,c)가 아닌 인..
패킹(packing)
0. 들어가며 packing은 여러개의 객체를 하나로 묶는 것. unpacking은 여러개의 객체를 묶어 놓은 것을 풀어내는 것임. # 패킹 : test에 한꺼번에 1,2,3을 집어넣는다 test = 1,2,3 # a,b,c 변수에 test안에 묶여있던 값들을 풀어서 집어넣는다. a,b,c = test #결과 print(a, b, c) >>> 1,2,3 피보나치 수열 등을 작성할 때 아래 처럼 swap(변수 바꾸기) 했는데, unpacking 과 유사하다는 느낌이 들었다. a,b = b, a+b 용어 설명 매개변수(Parameter) :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변수 인자(Argument): 실제로 함수가 호출될 때 입력되는 변수값 위치인자 : 인자와 매개변수에 위치와 일치시키는 인자, 항상 키워드 인..
++, --, +=,-=,*= 그리고 a,b = b,a (swap)
별 것 아닌데 처음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보고 이해가 가지 않아 끙끙 거렸던 것들을 왕초보의 눈으로 정리해보았다. 1. 파이썬에는 ++, -- (증감연산자)가 없다. C언어 등에는 i++; ++i; i--; --i 와 같은 연산자를 사용하는데 파이썬에는 존재하지 않는다. 2. 파이썬에는 +=,-=,*=,/= 등 (할당연산자)가 존재한다. 반복문 등을 사용할 때 아래와 같은 식을 자주 사용하는데, 할당연산자를 이용하면 좀 더 간결하게 이를 표현할 수 있다. a = a+1 a +=1 a = a-1 a -= 1 a = a*5 a *= 5 a = a/5 a /= 5 a = a%5 a %= 5 3. 파이썬에서는 a,b = b,a 로 변수의 자리를 바꿔줄 수 있다.(Swap) 다른 언어에서는 임시변수(temp)를 사..